포포펫의 국내환경화 – (2) 한글 입/출력

앞선 포스트에서 CE화와 기본적인 한글 출력을 하는 방법까지만 설명을 했습니다.
이번에는 한글입력기 설치와, 언어설정을 한국어로 바뿌는 방법에 대해 적도록 하겠습니다.

1. 한글입력기 설정
한글입력기는 CE기기의 대표적인 입/출력 소프트웨어인 디오펜을 이용하겠습니다(다른 방법은 모릅니다.). 참고로, 여기에 사용될 디오펜은 버전이 5.0이어야 하고, 10일 체험판으로는 안됩니다. 현재 가진것이 예전 버전의 정품인지라, 최신버전의 정품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저에게는 디오펜을 재가공, 재배포할 권한이 없으므로 파일공유는…

한글입력에 필요한 파일은 dime.dll, diokbdce.dll, dioime.exe 세개의 파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다음 내용을 긁어다가 reg파일로 저장해 놓으시기 바랍니다.(여기서는 dime.reg파일로 해놓았습니다.)

REGEDIT4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051]
“VK”=dword:00000019
“KM”=dword:0000c004
“Ime”=dword:e0010412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052]
“VK”=dword:00000020
“KM”=dword:0000c001
“Ime”=dword:e0010412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100]
“VK”=dword:00000020
“KM”=dword:0000c004
“Ime”=dword:e0010411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101]
“VK”=dword:00000020
“KM”=dword:0000c005
“Ime”=dword:e0010412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Preload]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Preload\1]
@=”e0010412″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Preload\2]
@=”e0010411″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Layouts\e0010412]
“Layout Text”=”KBD e0010412”
“Ime File”=”dime.dll”

[HKEY_LOCAL_MACHINE\SYSTEM\Ime]
“Setting”=”dword:00000016”

위 까지입니다.

먼저 dime.dll, diokbdce.dll, dioime.exe 세개의 파일을 포포펫의 \Windowsw폴더에 복사합니다. 그 다음 위에 준비해놓은 reg파일을 import가능하게 설정을 합니다.
스몰트윅을 이용하면 간단합니다만 여기서는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스몰 트윅을 위와같이 설정한 상태에서 미리 만들어 놓은 reg파일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はい를 선택해 주시면 데이터가 import됩니다.

이상태에서 리셋을 하시면 dioime가 작동하게 됩니다.

한영 전환은 Alt(機能)+스페이스
일어IME활성화는 시프트+스페이스
한글IME활성화는 시프트+Alt(機能)+스페이스
한자입력은 시프트+漢/直 입니다.
하지만, 저처럼 일어 입력기가 필요 없으신 분들도 계실텐데 이 때에는…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030
HKEY_CURRENT_USER\Keyboard Layout\Preload\2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Layouts\e0010411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100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101
위 키값을 레지스트레에서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어IME를 지우시고 漢/直만으로 한영전환을 원하신다면,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052에서
VK값을 19로 바꾸시고,
KM값을 0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리셋후에 자동 적용됩니다.

1.5 DIOIME를 숨기는 법
위 설정 그대로 두면 상태창이 항상 위로 나오게 됩니다. Aview에서 전체화면으로 보게되도 걸리적 거리고, iSilo에서 클리핑을 볼때면 잔상이 생겨서 불편하게 됩니다. 이 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엽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DIOTEK\DioIME키 안에,
IMEHide라는 dword값을 추가합니다. 그 값을 1로 변경해주면 IME가 보이지 않게 되지요.
타스칼 레지스트리에디터에서는 DioIME키를 보게되면 모래시계만 나오고 아무것도 안보이는데요, 이럴때에는 그냥 DWORD값 추가해서 이름을 IMEHide을 입력한다음 엔터를 두번 때려준 다음 1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2. 국가 언어 설정(한국어)
입력기만 설정된 상태에서 메모장이나 이런 txt상에 한글을 입력/저장하는 경우에는 몽창 깨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언어설정을 한국어로 바꿔줄 필요가 있습니다. 여기에 필요한 준비물은 wince.nls입니다. 디오펜에 포함되어 있지만, 이 파일의 경우에는 단축아이콘을 사용할 수 없더군요. 이 파일 이외에는 구할 수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타임스페이스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한국어/일본어가 포함된 wince.nls를 입수해서 써 보았습니다만, 한국어로 설정을 해도 한글이 저장이 안되더군요.
아무튼, 아이콘보다는 한글저장이 중요하다고 판단되시는 분은 시도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레지스트리 에디터를 엽니다.
HKEY_LOCAL_MACHINE\nls에 DefaultLCID값이 41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한국어인 412로 바꾸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미리 준비해둔 wince.nls파일을 \windows에 복사합니다. 그리고 리셋을 하면 한국어 입출력이 설정됩니다.
하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 이 설정을 하면…
단축 아이콘을 전혀 쓸 수 없습니다.
스몰트윅으로 실크스크린영역이나, 핫키영역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한글 탐색기와 한글 메모장
khug.org자료실에 보시면 제가 올려놓은 한글화시킨 탐색기와 메모장이 있습니다.

1 thought on “포포펫의 국내환경화 – (2) 한글 입/출력”

  1. Pingback: 일상다반사~

Leave a Comment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